9월이 되면 재산세 고지서를 또 받게 되죠.
“7월에 이미 냈는데 왜 또 내야 해?” 싶은 분들 많으실 거예요.
사실 재산세는 연 2회 분할 납부 방식이기 때문에, 주택이나 토지를 가지고 계시다면 9월에도 납부 대상이 되는 게 맞아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기간,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그리고 신용카드로 납부할 때 받을 수 있는 캐시백이나 무이자 혜택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봤어요.
9월 재산세, 왜 또 내야 하나요?
2025년 9월 재산세는 주택분 재산세의 나머지 절반과 토지분 전체가 포함돼요.
보통 주택에 대한 재산세는 금액이 꽤 되기 때문에, 납세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7월과 9월로 나눠서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7월에는 주택분의 절반과 건축물, 선박에 대한 재산세가 함께 고지되었고요,
9월에는 남은 주택분과 토지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는 거예요.
만약 주택 관련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였다면 7월에 한 번에 다 낸 것이기 때문에, 9월에는 고지서가 따로 나오지 않아요.
정확한 납부기간은 언제인가요?
2025년 9월 재산세 납부기간은 다음과 같아요.
납부기간: 2025년 9월 16일(화)부터 9월 30일(화)까지
이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의 가산금이 부과되고, 장기 미납 시에는 재산 압류 등의 행정처분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반드시 기한 내에 납부하셔야 해요.
납부 대상은 누구인가요?
납세 대상은 2025년 6월 1일 기준, 해당 주택 또는 토지를 소유한 분이에요.
만약 6월 1일 이후에 매도하셨더라도, 세금 납부 책임은 매도자에게 있어요.
따라서 부동산 거래를 하셨다면 이 날짜 기준으로 세금 분담을 잘 확인해보셔야 해요.
재산세 납부방법,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요즘은 세무서를 직접 방문하는 것보다 비대면 온라인 납부 방식이 훨씬 간편하고 대세예요.
- 위택스
공인인증서 없이도 본인 인증만 하면 조회부터 납부까지 한 번에 가능해요. - 스마트 위택스 앱, 카카오페이 지방세, 네이버페이 지방세 납부 서비스
모바일로 간단하게 카드 결제나 계좌이체가 가능해서 요즘 많이 이용하시더라고요. - 가상계좌 무통장입금, ARS 전화 납부, 은행 ATM 바코드 인식 방식도 여전히 사용 가능해요.
직장인 분들은 점심시간에 모바일 앱으로 바로 납부하는 게 편하다고 하시더라고요.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재산세는 금액이 큰 만큼, 신용카드 납부 혜택을 활용하면 절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요.
2025년 9월 기준 주요 카드사별 혜택은 아래와 같아요.
- 신한카드: 체크카드로 납부 시 0.1% 캐시백, 신용카드는 5만 원 이상 결제 시 12개월 무이자
- 롯데카드: 기본 1% 캐시백, 조건 만족 시 최대 2% (월 200만 원 한도 내)
- 현대카드: 6개월, 10개월, 12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
- BC카드: 2~3개월 기본 무이자, 장기 할부 시 10~12개월까지 가능
- 하나카드: 10개월, 12개월 무이자 가능 (BC제외)
- 농협카드: VIP 등급 대상 스타벅스 기프티콘 증정 (최대 5만 원 상당)
- KB국민 체크카드(직장인 보너스): 건당 10만 원 이상 납부 시 7천 원 캐시백
큰 금액 납부하시는 분들은 무이자 할부 혜택이 유리하고, 소액이라면 정액 캐시백이 있는 카드가 더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재산세 분할납부도 가능한가요?
네, 가능해요.
재산세 본세와 도시지역분 세금의 합계가 5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9월과 12월로 나누어 2회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해요.
다만 이건 신청해야 가능한 제도이기 때문에, 고지서 발송 이후 해당 지자체 세무부서에 문의하셔야 해요.
놓치지 말아야 할 절세 포인트 정리
- 주택·토지를 함께 보유한 경우, 9월에는 꼭 확인
- 납부는 온라인·모바일 위주로 편리하게 가능
- 신용카드 납부 시 무이자·캐시백 등 꼭 활용
- 재산세가 500만 원 넘는다면 분할 납부 신청 고려
- 고지서가 없더라도 위택스에서 조회 및 납부 가능
마무리하며
2025년 9월 재산세는 주택분 절반 + 토지분이 대상이며, 납부기간은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입니다.
최근에는 모바일 납부와 카드 혜택이 다양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단순히 세금 내는 것을 넘어, 절세 기회로 잘 활용해보는 것도 중요해요. 혹시 고지서를 못 받았거나 본인 납부 여부가 궁금하시다면
0 댓글